문제점 npm run build 명령을 통해서, Vue Cli로 만든 프로젝트를 빌드하려했는데... Accessing non-existent property 'cd' of module exports inside circular dependency Accessing non-existent property 'chcmod' of module exports inside circular dependency Accessing non-existent property 'cp' of module exports inside circular dependency ..... 위와 같은 메세지가 콘솔창에 가득차며 되게 에러처럼 보이는 무언가를 뱉어낸다. 물론 이 메시지가 끝난 이후에도 build가 정상적으로 끝난 것처럼 정적 리..
문제점 npm install 명령어를 통해서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아래와 같이 run `npm audit fix` to fix them, or `npm audit` for details 라는 에러가 발생했다. npm을 다룬지도 한참됐는데...처음보는 에러라서 또 뭔가 프록시 설정을 누락했거나, npm config 설정값에 문제가 있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고 npm audit 라고, 각 패키지들이 가진 취약점을 체크해주는 로직이 들어 왔다는 거였다. npm 패키지 자체가 install 시에 물고물고물린 의존성에 따라 여러 패키지들을 알아서 설치해주다보니, 그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대비하기위해 해주는 거라고 한다. 해결법 생각보다 심플하다. 해당 audit 옵션을 쓰지 않겠다는 옵션을 아래와 같..
0. Intro 이전 편을 쓴 지 일주일이 넘었네요. 빠르게 되짚고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왜냐면 지금 이미 새벽 4시거든요. 그리고 오늘은 화요일이라, 오늘도 출근을 해야하니까요! 우선 저번 포스팅에서 했던 마지막 단락을 되짚어 보겠습니다. index.html 이라는 하나의 정적 파일이 있고, 브라우저는 얘만 로딩합니다. 그래서 SPA(Single Page Application) 개념이 적용이 되는 거였구요. 그 index.html 파일에는 우리가 익히 아는 태그 하나와, build.js를 정의하는 코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기타 메타태그는 그냥 무시할게여) 그리고 딱 하나 있는 태그가 가진 id ‘app’를, Vue Application 인스턴스(Vue 2.x버전의 경우 Vue 인스턴스)가 가리킴으..
0. 시작하기에 앞서 사실 저번 편에 이어서 이번 편도 좀 지루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체 Vue.js 에 대해서 설명하는 포스팅이라고 해놓고 Vue.js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설명은 어디 있는거냐, 라는 생각이 드실수도 있어요, 충분히. 이래저래 필요한 개념들부터 짚고 넘어가려다보니 포스팅이 길어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이 정도는 알아야 할 거 같은 것’들을 모른 척 당장 넘어갈 수는 없잖아요? 당장에 급하기에 활용법부터 필요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급히 먹는 밥은 체하기 마련이니까요. 최소한의 기본은 쌓고 인지한채로 개발을 해야하지 않겠습니까?ㅎㅎ 그러니 이번편도 당장 Vue.js를 ‘코드’로써 활용하고자하시는 분이라면 스킵하셔도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던..
이번에 작성할 포스팅은 Vue3.0에 Fontawesome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사실, 아직 공식적으로 Fontawesome이 Vue 3.0을 지원하진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정식 릴리즈 된 지 아직 2주도 되지 않은 시점이니까. Font Awesome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vue-fontawesome 깃헙 레파지토리도 방문해 보신 분이라면 알아채겠지만 Vue 3에 대한 정식 지원이 되지 않고 있다. 좀 더 정확히는 아래처럼 우리 지원해. 그러니까 이 방법을 쓰면 될거야, 라고 안내는 하고 있지만 위에 버젓이 Using Vue 3.x라고 하고 npm install 명령어를 적어놨지만 실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No matching version found for @fortawesome/v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