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하던 일을 정리하느라, 너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그 덕에 포스팅 주기가 엿가락처럼 너무 늘어지게 됐네요. 될 수 있으면 1주 1포스팅 정도는 지키고 싶었는데...라는 안타까운 마음을 서두로, 이번 포스팅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도서리뷰도 리액트 책의 리뷰다. 일전에 했던 리액트 관련 도서리뷰(생활코딩! 리액트 프로그래밍)가 입문자를 위한 도서였다면 이 책은 입문자보단 한 단계 더 나아간 사람들이 읽기 좋은 도서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여기서 왜 한 단계 더 나아간 사람들, 이라는 표현을 썼냐면 이 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리액트에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저변이 짙게 깔려있기 때문인데 실제로 책의 목차를 보면, 아래와 같이 초반부를 구성되어있다. 01. 리액트 소개 02. 리액트..
도서리뷰라고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어째 서두가 더 길어져버린 이상한 포스팅 무언가를 배우고자 할 때, 보통 사람은 2가지로 나뉘게된다. 이론은 일단 겪으면서 깨달아가겠다는 실전파와 실천에 앞서 이론부터 탄탄해야한다는 이론파. 둘 중 어떤 방식이 더 뛰어나다, 라고는 누구도 말 할 수 없지만 적어도 나한테는 어떤 방식이 더 좋은가, 라고 묻는다면 대답은 쉽다. 나는 아래에서부터 쌓아올려가는 이론파기 때문이다. 어쩌면, 글 쓰는 걸 좋아하고 읽는 걸 좋아하는 성격탓인지 좀 더 실전보다는 먼저 읽고 쓰며 머릿속에 넣어둬야 마음이 편하다. 그런 입장에서, 어떤 이론 혹은 스킬들을 받아들이고 활용해야할때마다 부딪히는 하나의 벽은 무엇을 보고 공부할 것인가, 이다. 혹자는 공식 문서, 혹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서 ..
이 포스팅은 미완입니다. 써놓은 포스팅임에도 불구하고 미완이라니, 그럼 굳이 왜 써놓는거지? 싶은 생각을 하실 수도 있는데... 사실 앞선 포스팅(Javascript의 불변성)에서 설레발치듯 '밑밥'이라는 표현을 써서 이렇게 빈 포스팅을 남겨두게 되었습니다(밑밥을 깔아뒀더니 순서상 다른 주제로 포스팅하기가 뭔가 애매해져서...이렇게 영역부터 차지해두려고 합니다) 그래도 미완이지만 포스팅을 하는김에 또 썰을 풀어보자면,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싶었던 주제는 React.js와 Vue.js에서 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 혹은 다루는 차이에 대해서 작성을 하려고 했습니다. 저는 보통 기술 포스팅을 할 때면, 눈을 감고도 입에서 술술 나올만큼 완전히 체화된 지식을 바탕으로 포스팅하려하는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아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