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HeQf/btqJCu5EJkS/3h5Gjn80JIfk9vAo4ExH6K/img.png)
[Vue.js_#02]번쨰 글을 시작하기에 앞 서…타이밍이 기가 막힌 건지, 어쩐건지 2020년 09월 18일을 기준으로 Vue.js 3.0이 릴리즈 됐다. 첫 번째 이름은 아주아주 유명한 만화 ‘One Piece’ 공식 레파지토리 또한 오픈되었는데, 아직까진 공식 한글 번역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위 레파지토리의 이슈를 통해 번역에 대한 컨트리뷰션을 받는 중이다) 그리고 기가 막히게도 내가 얼마전에 쓰기 시작한 Vue.js 시리즈를 시작한 날이 9월 21일이다. …그렇다, Github 커밋 이력을 보시는 분들은 알 수 있겠지만 내가 Vue-cli 3를 통해 프로젝트를 만든 게 9월 8일. 그리고 어느정도 글을 쓰며 함께 진행해도 이상이 없을 법할 수준으로 기본 베이스 세팅을 마친게 9월 21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1S8t/btqI58aoZuN/RR1TOO2dqNRf5hAKKsLVYk/img.png)
이제 시작입니다. 새로운 걸 배운다는 건, 참 재밌는 일이에요. 저는 평생 공부만 하면서 살 수 있다면 참 좋을텐데, 라는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라 그런지 뭔가 새로운 지식을 머리속에 넣는게 그렇게 재밌더라구요. 막, 지식의 석탑이 머릿속에 차곡차곡 쌓여가는 그 느낌? 남들보다 내가 한 치라도 더 알아간다는 도취감이랄까? 뭐 대충 그런 걸 좋아합니다. …는 또 샛길로 빠지려고 하는 기미가 보이니 본론으로 돌아와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인트로를 열어보자면, [Vue.js_#00] 원래 시험공부는 방청소부터 하는 거랬다 에서도 말했지만 2017년부터 Vue.js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종종 현장지원의 형태로 개발자분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기도 했습니다. 마음 같아선 3일 정도 일정을 잡고 천천히,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U3NH/btqI1LURg5L/eCO522y4irEgdKRgN4M66K/img.png)
꽤나 오랜만이라는 표현조차 양심에 가책이 느껴질법한 텀의 기술포스팅입니다. 2018년엔 SAML을, 2019년엔 OAuth2를 썼었는데 2020년엔 Vue.js에 대한 포스팅을 하고 있네요. (SAML은 사내 개발자포탈에 올린 내용으로...본 블로그에 없습니다ㅠ) 어쩌다보니 1년에 겨우 하나의 주제정도만 포스팅을 하는 것 같습니다. Github 트렌드만 살펴봐도 매주 포스팅을 해도 따라가기 벅찰만큼 많은, 그리고 좋은 기술들이 쏟아져나오고 있는 세상에서 게으름뱅이와 굼벵이처럼 느리게 살고 있는 거 같네요. 네, 제가 게을러 진 거 맞아요ㅠㅠ 뭐, 물론 어줍잖게 간보듯 이거 찍어보고 저거 찍어보는 겉핥기 형식으로 포스팅을 해봤자 의미도 깊이도 없긴하지만요.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이번에 하려는 Vue.js..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sluaC/btqucorQQpj/Mda0fydL5VKAxXw6vgP7Sk/img.jpg)
일요일입니다. 이 글은 길었던 OAuth2.0의 이론편 마지막편이 될 예정입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창밖을 보니 어제완 다르게 하늘이 푸르네요. 현재 시간은 오전 11시입니다, 얼른 마무리짓고 오후엔 집 근처 석촌 호수로 벚꽃을 보러 출사를 가야겠습니다. 3. Grant Type 네, 드디어 이론편_#02에서 여러분을 괴롭히고 주구장창 언급했었던 Grant Type 이 나왔습니다. 분명 이번 편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해드린다고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만큼 설명할 내용이..많습니다. 하지만 어렵지는 않습니다. 한 번에 휙, 하고 정립만 된다면 말이죠. 0) Intro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서, 간략한 언급을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Grant Type 은, ‘허가를 받는 유형’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허가’에 대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CXPE/btqt84urqkn/yQ425YoRD5R7iGeOdqyol1/img.jpg)
어느새 벌써 금요일이네요. 내일이면 벌써 주말입니다. 제 집 근처인 석촌호수에서는 내일부터 벚꽃축제를 한다던데 간만에 카메라 챙겨서 출사나 다녀와야겠습니다. 금일 포스팅은 일전에 했던 OAuth2_이론편_#01에 이은 이론편_#02 입니다. 시작전, 간략한 복습 #01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던 것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OAuth2는 인증이 아니라 인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다. 2) OAuth2를 활용하기 위해선 4가지의 실물이 필요하다. 서비스를 이용할 사람, Resource Owner. 서비스를 제공하는, Client. 토큰을 발급해주는 인가의 주체자, Authorization Server. 토큰을 확인해서 리소스에 대한 접근심의를 하는 문지기, Resource Server. 위의 2가지가 사실..